728x90
반응형
SMALL

퇴직연금 및 미국투자 일지/미국주식 8

(미국주식) FNGU의 티커변경 발표(FNGA) 및 SOXL, BULZ, TQQQ 구성종목 확인

250301. FNGU의 티커변경 발표(FNGA) 및 나의 보유종목 SOXL, BULZ, TQQQ 구성 포트폴리오 확인나는 미국에 투자중인 30대 중반의 직장인이다.내가 투자하는 ETF로는 SOXL, TQQQ, FNGU, BULZ 가 있다.하지만 사실 위 종목 중 FNGU, BULZ는 ETN으로, ETF와는 일부 차이점이 있다.ETN은 증권사가 발행하는 채권 형태의 상품으로, 특정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계된 금융상품이다. ETF와 다르게 실물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증권사가 "우리가 이 지수를 따라갈게!" 하고 보증하는 구조이다. 아래 ETF / ETN을 보면 이해하기 쉬울것이다.KODEX 레버리지 ETF → 코스피200을 2배 추종 (실제 주식 보유)KODEX 레버리지 ETN → 코스피200을 2배 추종 ..

(미국주식) 미국주식의 폭락이 시작되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변경해야 할까?

250222. 미국주식의 하락장에  내 자산을 유지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변경 며칠 전 24년 4분기 13F 보고서가 공개되었다.해당 보고서에서 우리는 워렌 버핏의 4분기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미국 성장ETF(VOO, SPY)를 매도하고 필수소비재 / 경기방어 / 독점 / 에너지 주식을 매수한 걸 확인할 수 있었다.즉, 지금 시장이 과열이고 미국시장이 하락할 것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이전 포스팅 참조 : (미국주식) 24Y4Q 13F 공개,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변화 : 시장 과열에 대한 폭락장 대비일까?)워렌 버핏이 활용하는 버핏 지수(Warren Buffett Indicator)는 주식 시장이 과열되었는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국가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GDP ..

(미국주식) 24Y4Q 13F 공개,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변화 : 시장 과열에 대한 폭락장 대비일까?

250219. 24Y4Q 13F 공개,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변화 : 시장 과열에 대한 폭락장 대비일까? 지난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24년 4분기 13F 보고서가 발간되었다. 13F(Form 13F)는 운용 자산(AUM)이 1억 달러 이상인 기관 투자자들이 매 분기마다 보유한 주식 포트폴리오를 공개하는 보고서이다. 제출 대상 : 헤지펀드, 연기금, 뮤추얼펀드, 대형 자산운용사 등(버크셔 해서웨이(워렌 버핏), 블랙록, 피델리티, 소로스 펀드 등)제출 주기 : 분기별 제출 (매년 2월, 5월, 8월, 11월 중순경 공개 / 기관 투자자들은 분기 마감 후 45일 이내에 보고서를 제출해야 함)공개되는 정보 : 보유 주식 종목, 보유 수량, 평가 금액 (옵션, 채권, 해외 주식 등 불포함) SEC..

(미국주식) 팔란티어(PLTR) 24Y4Q 주주서한 및 미국정부효율부(DOGE) 협업 내용 고찰

250212.  팔란티어 24년 4분기 실적발표 따른 주주서한 내용 및 정부효율부(DOGE) 협업 내용 고찰25년 2월 5일. 팔란티어의 24년 4분기 실적발표에 따른 어닝콜과 Alex Karp의 주주서한이 공개되었다.어닝콜의 전문과 요악본, 질의응답 내용은 스톡나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어닝콜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24Y4Q 매출 전분기 대비 14% 증가, 23Y4Q 대비 36% 증가, 23년 대비 24년 매출 29% 증가2. 미국 내 사업 매출 23년 대비 52% 증가, 25년 전체 매출 성장률 31% 이상 (예상)3. 미국 정부 수익 전년대비 40%, 전분기 대비 11% 증가 (455,000,000달러)이와 같은 실적 발표에 Alex Karp는 아래와 같은 주주서한을 남겼다.(Alex Ka..

(해외주식) 배당성장주 SCHD에 우리의 미래를 모두 맡길 수 있을까? : SCHD 고찰

250129. 배당성장주 SCHD에 대해 알아보자. 나의 미래를 모두 맡길 수 있는 상품일까?                  또한 한국인들이 그렇게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2024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미국 주식은 어떤게 있을까?KSD 증권정보포탈에 들어가 국제거래 - 외화증권예탁결제에서 아래의 조건으로 검색하면 상위 50위까지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순위를 티커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1위 TELSA2위 VOO3위 SCHD4위 PLTR5위 AVGO(내가 적립식으로 투자하려는 팔란티어가 순매수 4순위일 줄이야 😅 한국인들 역시 다 빠르다.)오늘은 그 중 SCHD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SCHD SCHD는 Charles Schwab에서 운용하며, 배당금을 지급하는 미국 대형주에 투자하..

(미국주식) 팔란티어(PLTR) 적립식 투자 이유 (온톨로지 기반)

250127. 팔란티어(PLTR)는 무엇을 하는 회사일까? 내가 적립식으로 투자를 마음먹은 이유  2025년 미국주식의 화두는 AI이다. 트럼프는 대통령직에 복귀 하자마자 아래와 같이 AI 관련 규제 완화, 투자 계획을 발표하였다.1. 미국 AI기업 규제 완화2.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 합작회사인 '스타게이트'를 설립3. 최대 5000억 달러( 약 718조) 규모 AI 투자 계획미국 텍사스를 시작으로 AI 데이터센터를 계속해서 구축할 예정이며,  올해 바로 1000억달러의 투자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요즘 미국시장의 화제는 AI이다.미래를 준비하는 투자자 입장에서, AI 시대로 변하고 있는 지금 무수히 많이 생겨나는 AI 관련 회사들 중 진짜를 고르고 골라 투자해야 하지 않을까?그 수많은..

(미국주식) 나의 미국주식 구성종목(TQQQ, SOXL, FNGU, BULZ) 및 투자계획

250110. 나의 미국주식 ETF 구성종목 (TQQQ, SOXL, FNGU, BULZ) 및 투자목표 및 계획나는 30대 중반의 평범한 직장인이다.흔히 젊은 나이에는 공격적인 투자를 활용해 자산을 늘리고,노년이나 은퇴할 때 쯤엔 자산을 잃으면 안되니 안정적인 투자(배당주 등)를 통해 자산을 늘린다고 한다.젊은 나이때는 자산을 잃어도 다시 벌 수 있는 기회가 있다.나는 2021년,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미국주식 투자를 시작하였다.끝도없이 올라가는 미국주식을 보며, 나 혼자 벼락거지가 되는 느낌이었다.그렇게 3배 레버리지 ETF를 매수하였고, 모두가 아시다시피 미국주식이 1년간 폭락하며 내 주식은 -80%를 맞게 되었다.(이전 내용 참조 : (미국주식) 코로나 대유행 / 달러 양적완화 시기 미국주식(ETF)..

(미국주식) 코로나 대유행 / 달러 양적완화 시기 미국주식(ETF) 투자 시작한 나의 이야기(폭락, 복구)

250108. 코로나가 대유행하고 달러 양적완화가 일어나던 시기 시작했던 나의 미국주식(ETF) 투자 시작 이야기. 폭락 및 복구 가능 사유에 대한 고찰 나는 현재 30대 중반, 자산 증식을 위해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일반 회사원이다.오늘은 내가 미국주식을 하게 된 이유 및 그 시기, 폭락 및 복구과정에 대해 회고해보자 한다.나의 미국주식 시작은 코로나 대유행 시기이다.2020년 전 세계적으로 덮친 코로나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연준은 달러를 계속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양적완화를 진행했다.양적완화란 무엇일까? 시사경제용어사전에서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는 중앙은행이 통상적인 공개시장조작의 거래대상이 아닌 국공채나 주택저당증권, 회사채 등을 매입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이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