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및 미국투자 일지/미국주식

(미국주식) 팔란티어(PLTR) 적립식 투자 이유 (온톨로지 기반)

룰루연구원 2025. 1. 27. 09:00
728x90
반응형
SMALL

250127. 팔란티어(PLTR)는 무엇을 하는 회사일까? 내가 적립식으로 투자를 마음먹은 이유

 

 
2025년 미국주식의 화두는 AI이다. 
트럼프는 대통령직에 복귀 하자마자 아래와 같이 AI 관련 규제 완화, 투자 계획을 발표하였다.


1. 미국 AI기업 규제 완화
2.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 합작회사인 '스타게이트'를 설립
3. 최대 5000억 달러( 약 718조) 규모 AI 투자 계획

미국 텍사스를 시작으로 AI 데이터센터를 계속해서 구축할 예정이며,  올해 바로 1000억달러의 투자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요즘 미국시장의 화제는 AI이다.
미래를 준비하는 투자자 입장에서, AI 시대로 변하고 있는 지금 
무수히 많이 생겨나는 AI 관련 회사들 중 진짜를 고르고 골라 투자해야 하지 않을까?

그 수많은 AI 회사들 중 특출난 점이 있고, 혼자만의 길을 가며 다른 회사들이 따라오지 못할 정도의 기술을 가진 회사는 어딜까?
 
오늘은 내가 생각하는, AI 기업 중 혼자만의 길을 가고 있다고 느낀 팔란티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미국 팔란티어 본사

 

팔란티어(Palantir)

 
팔란티어는 2003년 페이팔 창업멤버인 피터 틸을 중심으로 Nathan Gettings, Joe Lonsdale, Stephen Cohen 및 현 CEO인 Alex Karp 가 중심이 되어 설립한 회사이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무수한 정보가 생성되고 있다.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의 생성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AI 회사들은 이 정보들을 정리하고, 카테고리별로 정리하여 학습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정보의 정리나 처리에 대해 팔란티어와 다른 AI회사들과 차이점이 있다.

팔란티어와 기타 AI회사와의 비교

 

728x90

 

온톨로지(Ontology)

 
팔란티어는 수 많은 데이터를 근본적으로 연결하고, 조직화 하는 온톨로지에 집중하는 기업이다.

온톨로지는 철학에서 '존재론'이라는 개념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물의 존재 의미를 논의하는 철학적인 연구 영역을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이 세계에는 어떤 종류의 존재자들(물리적, 현상적, 개념적, 추상적, 감성적)이 존재하는가"
"그들의 본성(본질)은 무엇인가, 그들 존재자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들 존재자들로부터 어떻게 세계가 구성될 수 있는가"

와 같은 질문을 던지는 연구 영역을 다루는 분야이다.AI에서 말하는 온톨로지의 개념은 위 존재론적 개념과는 일부 다른 개념이다. 온톨로지는  

"사람들이 세상에 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합의를 이룬 바를, 개념적이고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로,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조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기술"

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온톨로지는 일종의 지식표현(knowledge representation)으로, 컴퓨터는 온톨로지로 표현된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의 직관적 개념을 이해하고 지식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쉽게 말해 데이터의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고,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연결해서 컴퓨터가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정리해놓은 도구이다.

팔란티어 Foundry (온톨로지 기반 데이터 연결)


팔란티어의 “온톨로지(Ontology)“는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서,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연결하여 실제 업무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것을 말한다.

이는 데이터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추상적인 모델(models)을 만들어 실제 업무에서 데이터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해해 보자.

회사에 고객 데이터, 제품 데이터, 재고 데이터가 각각 따로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데이터들은 따로 보면 별 의미가 없지만, 온톨로지는 이 데이터를 “연결”해서 질문에 답할 수 있게 만든다.

“어떤 고객이 특정 제품을 주로 구매했나?”
“재고 부족 위험이 있는 상품은 뭔가?”

온톨로지는 데이터들 사이의 관계를 “맵(Map)“처럼 만들어서, 데이터가 하나의 이야기처럼 흐르도록 도와준다.
온톨로지는 복잡한 데이터 환경에서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내는 데 유용히 쓸 수 있다. 

팔란티어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AIPFoundryGothamApollo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각 플랫폼은 온톨로지의 개념을 활용해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온톨로지는 데이터의 의미와 관계를 모델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와 통찰을 추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팔란티어에서 운용하는 플랫폼의 핵심은 온톨로지이다.

팔란티어 플랫폼 AIP ,  Foundry ,  Gotham ,  Apollo
팔란티어 플랫폼 별 기능 및 온톨로지 활용 내역


팔란티어는 위와 같은 플랫폼을 활용해 미국 국방부와 협업(빈라덴을 잡는데 사용한 플랫폼으로 유명하다)을 하고 있으며,
재고관리 / 재무관리 / 헬스케어사람이 컴퓨터를 활용해 일하는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하다.

팔란티어 Commercial Revenue

 

SMALL


팔란티어는 창립된지 20년이 넘은 기업이다.

장기간 온톨로지의 기반을 다지는데 집중하다가, 최근에는 플랫폼을 활용해 실적을 발생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유망한 기업이라고 생각해 충분히 투자 가치가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작년에는 팔란티어를 기반으로 하는 ETF 상품도 출시되었는데, 그 중 커버드콜 ETF인 PLTY가 눈에 띈다.

 
종목명: YieldMax™ PLTR Option Income Strategy ETF
종목코드: PLTY (Group B)
출시일: 24/10/07
운용수수료: 0.99%

운용수수료가 쫌 높은 단점이 있으나, 본격적으로 상승할거라 믿는 PLTR의 커버드콜 상품도 우상향할꺼라 믿기에 
일정 금액을 투자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본 포스팅은 투자나 상품을 권유하는 글이 아닌, 스스로 투자한 내용을 기록하는 일기와 같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스스로에게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