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퇴직연금 및 미국투자 일지/기타 3

과학기술인공제회를 활용해 얼마를 모아야 퇴직준비가 가능할까?

250225. 과학기술인공제회를 활용해 얼마를 모아야 퇴직 후 생활이 가능할까?나는 연구원에서 일하고 있는 30대 중반의 평범한 직장인이다.연구원에서 근무를 하고 있기에, 사학연금과 비슷한 과학기술인공제회에 금액을 납입 해 노후준비를 할 수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는 쉽게 말하면 과학발전에 이바지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사적연금과 비슷한 개념이다. (이전 포스팅 참조 : (노후준비) 과학기술인공제회를 활용한 노후 준비에 대한 생각)과학기술인공제회에는 사적연금이라는 상품이 있지만, 연금저축펀드와 IRP 대비하여 이득이 없기에대부분 적립형공제를 활용해 월마다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나중에 목돈 또는 연금으로 누적금액을 나눠받는 방식을 택한다.적립형공제는 내가 받는 월급의 일부를 과학기술인공제회에 납입하는 적금 상품이..

ETF는 무엇일까? 미국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가 알아야 할 개념

250131. ETF는 무엇일까? 미국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개념 정리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하려다 보면 ETF라는 것에 대해 쉽게 듣게 된다.ETF(Exchange Traded Fund)는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불리며,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이다. 즉, ETF는 하나의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는 ‘펀드’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예를 들어, 한국 주식인 코스닥 / 코스피를 생각해보자.코스피에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에너지솔루션 등이 상장되어 있고코스닥에는 알티오젠, 에코프로비엠, HLB 등이 상장되어 있다. 코스피/코스닥의 상위 10개 종목을 가지고 ETF를 만든다고 하면, ETF 이름은 "코스피/코스닥10(가제)"으로 할 수 있고,코스피 종목 중 삼성전자 10%, 하이닉스 ..

(노후준비) 과학기술인공제회를 활용한 노후 준비에 대한 생각

250117. 과학기술인공제회 적립형공제를 활용한 노후 준비에 대한 나만의 고찰 나는 연구 관련 업을 하는 회사를 다니고 있다.그렇기에 과학기술인공제회에 가입이 가능했었고, 입사 초기 회사 선배들의 추천에 공제회에 가입하여 일부의 월급을 납부하고 있었다.과학기술인공제회는 무엇일까?   과학기술인공제회과학기술인공제회는 과학기술인공제회법(법률 제6815호, 2002.12.26)에 따라 운영되며, 그 설립목적은 "과학기술인에 대한 효율적인 공제제도를 확립함으로써 과학기술인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아울러 과학기술활동을 활성화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고 되어있다. 쉽게 말하면 과학발전에 이바지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사적연금과 비슷한 개념이다. 공제회에서는 다양한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