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및 미국투자 일지/미국주식

(미국주식) 미국주식의 폭락이 시작되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변경해야 할까?

룰루연구원 2025. 2. 22. 21:24
728x90
반응형
SMALL

250222. 미국주식의 하락장에  내 자산을 유지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변경

 

며칠 전 24년 4분기 13F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해당 보고서에서 우리는 워렌 버핏의 4분기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미국 성장ETF(VOO, SPY)를 매도하고 필수소비재 / 경기방어 / 독점 / 에너지 주식을 매수한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금 시장이 과열이고 미국시장이 하락할 것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전 포스팅 참조 : (미국주식) 24Y4Q 13F 공개,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변화 : 시장 과열에 대한 폭락장 대비일까?)

버핏 지수(Buffett Indicator) 역대 최고(200 이상), 버핏 현금보유량 역대 최대

워렌 버핏이 활용하는 버핏 지수(Warren Buffett Indicator)는 주식 시장이 과열되었는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국가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 을 활용한다.

 

버핏 지수의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 할 수 있다.

100% 미만 → 시장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100% ~ 150% → 적정 수준
150% 초과 → 시장이 과열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반응형

버핏 지수는 현 시점 207.8을 가르키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50%를 넘긴 이후 현재가 가장 높은 수치이다.

 

또한 세계 펀드매니저의 현금 비율이 34%로, 2010년 이후 최저라고 한다. 
또한 응답자의 89%가 미국주식이 과열되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말 주식이 과열된 걸까?
미국주식의 하락이 시작되면 우리는 어떻게 자산을 유지해야 할까?

728x90

 

1.  금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다. 우리가 금을 안전자산으로 투자할 때, 직접 금을 매입하는것 보다 ETF를 활용해 투자할 수 있다.
금 ETF는 금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로, 금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금 가격 변동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
대표적으로 GLD, GLDM이 있다.

 

금 ETF GLD, GLDM 비교

 

GLDM은 GLD의 저비용 버전으로 출시되었고 운용 보수도 낮다. 그렇기에 우리같은 개미가 투자하는데는 GLDM이 유리하다.

 

2. 단기채권

 

미국의 단기채권은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불린다. 세계 최강국인 미국에 단기로 돈을 빌려준 증서이기 때문이다.

그 중 SGOV와 BIL이 대표적인 단기채권 ETF이다.
두 ETF 모두 만기 1년 이하의 초단기 국채(보통 1~3개월) 에 투자하며, 주식 시장 변동성이 커질 때 안전자산 역할을 한다.

 

단기채권 ETF SGOV, BIL 비교

 운용 보수에서 SGOV가 약 50% 저렴하기에, 우리가 투자하기엔 SGOV가 유리하다.

 

 

3. 방어주(헬스케어, 필수소비재)

 

증시가 과열로 하락하게 되면 사람들은 소비를 줄이게 된다.
소비를 줄이면 기업의 실적은 자연스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생활의 필수 소비제품이나 헬스케어 제품은 소비를 줄일 수 없다.

우리가 자산이 떨어진다고 코카콜라를 마시지 않을까? 마트에서 음식을 사지 않을까?
이와 같은 주식들은 방어주로써 주가하락이 거의 없거나, 오히려 상승하기도 한다. 

2022년 미국주식 하락 시 방어의 주가변화는 아래와 같다.

유나이티드헬스(UNH): -1% (사실상 보합)
존슨앤드존슨(JNJ): -2%
코카콜라(KO): +7% 상승
펩시코(PEP): +4% 상승
ETF: XLV (헬스케어 ETF, -3%) / XLP (필수소비재 ETF, -1%)

 

SMALL

4. 그 외

 

그 외로는 아래와 같은 전략이 있다.

매도 후 달러 RP / 현금 보유
RP 통장에 현금을 파킹하는 것으로, 현금 보유 거의 비슷한 방법이다. 주식이 저점이라 생각할 경우 분할매수를 노린다.

버티기 
장기투자를 하는 경우 버티는 전략이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매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배당성장주 등을 매수했을 경우에는 버티는 전략이 가장 좋아 보인다.

 

이 글을 쓰고 있는데 어제(250222) 미국 경제지표가 안좋게 나와서 나스닥이 2% 이상 하락하였다.
벌써부터 하락장일까...? 

아직 포트폴리오를 변경하지 못했는데 참 투자란 어려운 것 같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