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112. ISA, IRP, 연금저축계좌 한도 및 세금 등 혜택 비교(25년 1월 Ver.)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세금을 납부한다.
세금은 우리가 근로하여 받는 소득에서 발생하는 근로소득세 등 수많은 종류가 있다.
그 중 우리가 주식이나 ETF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은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가 대표적이다.
주식 거래로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서는 아래 표와 같다.
정리해보면 일반적인 서민이 주식을 했을 때
국내주식은 배당소득세 15.4%, 양도소득세 0%(과세표준 3억원 이하)
해외주식은 배당소득세 15%(미국 기준), 양도소득세 22%(연간 수익 250만원 초과)
의 세금이 발생한다. 주식 투자로 발생하는 소득의 15~20% 정도를 세금으로 납부한다고 보면 된다.
위 세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절세계좌를 통해서 투자를 해야한다.
절세계좌는 말그대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계좌이다.
국가에서 "이 계좌에서 투자를 통해 발생하는 금액은 세금을 낮춰줄게" 라고 만들어 놓은 정책을 활용하는 계좌이다.
절세계좌에서는 저율과세로 세금감면의 혜택도 있지만, 손익통산 및 과세이연의 되는 장점도 있다.
과세이연은 세금을 자금 인출 시기에 납부 할 수 있도록 미뤄준다는 것을 말한다.
발생한 소득에 대해 이자를 인출 시기로 미룰 수 있기 때문에, 기 발생한 소득을 바로 재투자하여 복리로 수익을 늘릴 수 있다.
손익통산은 계좌 내에서 손해보고 이득본 부분을 모두 합산하여 최종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을 징수하겠다는 의미이다.
예를들어 1번 주식은 (+)300만원 이고, 2번 주식은 (-)100만원 일때, 전체 세금은 통합하여 (+)200만원에 대해서만 징수한다.
또한 위 제도를 활용하면 연말정산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에 미래를 위해 꼭 활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절세계좌로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1. ISA
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Individual Savings Account 의 약자이다.
국내주식, 채권, 펀드, ETF 등의 다양한 금융상품 중 투자자가 원하는 상품을 간편하게 사고팔 수 있으나, 해외 주식이나 ETF에 직접 투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금융소득종합과세자 제외), 연 2000만원씩 최대 5년, 1억원까지 납입 가능하다. 또한 일반형 200만원, 서민형 400만원의 비과세 혜택도 있다.(연말정산 혜택 X)
2. IRP
IRP는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이다.
IRP는 미래 노후 자금(연금)을 미리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이다. 근로소득자,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등 소득이 있는 모든 형태의 근로자가 가입할 수 있다.
IRP는 퇴직금과 별도로 개인이 연금저축계좌 납입액과 합산해 연간 1800만원 한도 안에서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다. IRP에서는 예금이나 국고채 같은 원리금 보장형 상품과 펀드, ETF, 리츠 등 원리금 비보장 상품에 투자할 수 있지만 ISA와 마찬가지로 해외 주식이나 ETF에 직접 투자는 불가능하다. 또한 퇴직 이후 연금을 준비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위험자산의 투자 비중이 70%로 제한된다. 또한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IRP계좌는 가입 5년 이후, 55세부터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
3.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계좌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개인이 따로 가입하는 장기저축상품이다. 나이와 소득에 상관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하다.
1년에 최대 1800만원(단, IRP 납입액과 합산한 금액) 한도 내에서 입금할 수 있다. 펀드, 국내 상장 ETF, 리츠(REITs·부동산간접투자회사) 등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할 수 있고, 가입 5년 후,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으로 인출할 수 있다.
IRP와 다르게 계좌를 해지하지 않아도 중도 인출이 가능하나, 연금 이외의 형태로 중도 인출하거나 해지 시 기타소득세 15.6%를 납부해야 한다.
절세계좌 3종(ISA, IRP, 연금저축계좌)를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 본 포스팅은 아래 삼성자산운용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참조 : ISA·연금저축·IRP '절세계좌 3종’ 혜택 하나씩 비교해보자면?)
'퇴직연금 및 미국투자 일지 >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교보생명 퇴직연금 DC형 배당금 재투자 시 유의사항 (56) | 2025.01.23 |
---|---|
(퇴직연금) 조기 퇴직을 위한 나의 노후 연금 준비 계획(개인연금, 퇴직연금, 과학기술인공제회) (82) | 2025.01.14 |
(퇴직연금) 교보생명 퇴직연금 DC형 안전자산(30%)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117) | 2025.01.05 |
(퇴직연금) 퇴직연금 DC형 운용 가능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소개 (61) | 2025.01.02 |
(퇴직연금) 교보생명 퇴직연금 DC 입금 후 ETF 매매하기 (21)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