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및 미국투자 일지/퇴직연금

(퇴직연금) 교보생명 퇴직연금 DC형 안전자산(30%)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룰루연구원 2025. 1. 5. 14:03
728x90
반응형
SMALL

250105. 교보생명 퇴직연금 DC형 안전자산(30%)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매수 후기

조금 더 빠른 퇴직을 위해, DB형으로 적립되고 있는 내 퇴직금을 배당주를 통한 복리의 마법으로 늘려보기로 마음먹었다.
퇴직연금을 DB에서 DC로 전환한 이후, 퇴직금은 모두 ETF(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게 아니라 30%는 안전자산으로 투자해야 된다는걸 알게되었다.
퇴직연금에서 매수 가능한 안전자산을 찾아보았고, 그중 24년 09월 24일에 상장된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상품을 알게되었다.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상품설명

 
 
 

SOL 미국매당미국채혼합50

신한자산운용에서 출시한 상품으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와 동일한 기초지수인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와 'KRX미국채10년지수'를 50대 50 비중으로 구성한 지수이다.
안전자산으로 투자가능 하기 위해서는 주식이 아닌 채권 등을 50% 포함하는 상품이어야 되는것으로 판단된다.
(위 내용은 정확한 내용이 아니다. 근거를 찾아보려 했으나 인터넷에 모두 이런식으로 근거없이 적혀있다 ㅠㅠ)
현재 출시된지 3개월만에 1776억원의 운용규모를 보일 정도로 인기있는 상품이다.
위 상품을 안전자산으로 매수하게 된다면, 미국배당다우존스를 추종하는 배당주식을 전체 포트폴리오의 85%로 맞출 수 있다.

현재 퇴직연금에서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의 인기가 하늘을 치솟기 때문에, 위험자산인 미국배당다우존스를 해당 ETF를 통해 안전자산으로 구매가능한 아주 큰 장점이 있다.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분배금 현황


해당 ETF는 기존 미국배당다우존스와 유사한 주식가격과 분배금액을 띄고 있는데, 
아직 3개월 밖에 운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으로 치면 3% 내외의 배당을 보일것으로 사료된다.
총 보수가 0.15%로 적혀있으나, ETF 운용금액은 총 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계수수료 로 이루어져있다.
총 보수 보다 기타비용 등이 더 클수도 있고, 절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위 비용도 잘 살펴 보아야 한다.
하지만 기타비용 등은 ETF 운용을 1년간 해보아야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아직 3개월 밖에 운용되지 않은 해당 ETF는 전체 운용보수를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 신한자산운용에서만 운용중이기 때문에 꽤 비싸게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얼른 타 운용사에서도 경쟁이 붙어 운용보수를 떨어트리는 역할을 해주었으면 한다)
 
해당 ETF의 나머지 50%를 차지하고 있는 "KRX미국채10년지수"도 함께 살펴보자.
해당 지수는 미국 국가채권 10년물 수익률을 추종한다.
채권이란 무엇일까? 

728x90

 

 
채권은 중앙 정부, 지방 정부, 공기업, 금융 기관, 기타 법인 등이 정책 시행이나 사업 수행을 위해 자금을 조달하려고 돈을 빌렸으며, 정해진 기한 후에 투자자에게 원금과 함께 이자를 상환하는 채무증서로 증권화된 금융 상품이다.


요약하면, 신용도 있는 기업이나 나라가 돈을 빌리고 일정기한 이후 이 돈을 돌려주겠다는 채무 증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오늘 돈을 빌리고 1년 뒤 1만원을 돌려주는 채무 증서를 발행하겠다 라고 하면 1년짜리 채권이 되는것이다
채무 증서를 가진 사람은 해당 문서를 웃돈을 받거나, 웃돈을 얹어줘서 다른 사람에게 사고 팔 수 있다.
채권은 신용도 있는 기업이나 나라가 발행하는 것이기에 안전자산으로 채택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더군다나 전세계에서 가장 신용도 있는 미국의 채권이면, 무조건 안전자산이지 않을까?
그럼 현재 미국 채권 가격에 대해 찾아보자.
보통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금리가 약 10%라고 해보자. 1년뒤 만원을 돌려받는 채권 가격은 얼마일까? 약 9100원이 된다.
1년간 이자를 쌓아 만원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현재 금리가 5%라고 하면, 1년 뒤 만원을 돌려받는 채권 가격은 얼마일까? 약 9500원 정도가 된다. 
즉, 금리 인하 시기가 되면 채권가격은 상승한다.
현재 미국은 차차 금리를 인하하는 시기를 가지고 있고, 올해해도 2회 정도 금리를 인하할꺼라고 한다.

250105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6개월 간)

금리인하와 함께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계속 우상향하고있다. 앞으로도 금리 인하가 정상적으로 더 이루어 진다면
채권도 더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이 들기에 투자해도 좋은 상품이라 생각이 든다.
결론적으로, 나는 미국주식 기반 배당ETF의 배당금액과 주가 성장이 앞으로도 꾸준히 우상향 할것으로 생각하고 채권도 추가적으로 상승 여력이 있다고 믿기에 위 ETF를 매수하였다. 
앞으로 내가 퇴직할 15년 내외 간 복리의 마법으로 크게 성장해 주길 바란다.
다음에는 내가 개인적으로 투자중인 미국주식에 대해 차차 설명해 보겠다.
※ 본 포스팅은 투자나 상품을 권유하는 글이 아닌, 스스로 투자한 내용을 기록하는 일기와 같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스스로에게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